년 내 PCCE 응시를 목표로 기출문제를 풀기 시작하고 기록으로 남기려고 한다.
문제 설명
각 칸마다 색이 칠해진 2차원 격자 보드판이 있습니다. 그중 한 칸을 골랐을 때, 위, 아래, 왼쪽, 오른쪽 칸 중 같은 색깔로 칠해진 칸의 개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보드의 각 칸에 칠해진 색깔 이름이 담긴 이차원 문자열 리스트 board와 고른 칸의 위치를 나타내는 두 정수 h, w가 주어질 때 board[h][w]와 이웃한 칸들 중 같은 색으로 칠해져 있는 칸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이웃한 칸들 중 몇 개의 칸이 같은 색으로 색칠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정수를 저장할 변수 n을 만들고 board의 길이를 저장합니다.
2. 같은 색으로 색칠된 칸의 개수를 저장할 변수 count를 만들고 0을 저장합니다.
3. h와 w의 변화량을 저장할 정수 리스트 dh, dw를 만들고 각각 [0, 1, -1, 0], [1, 0, 0, -1]을 저장합니다.
4. 반복문을 이용해 i 값을 0부터 3까지 1 씩 증가시키며 아래 작업을 반복합니다.
4-1. 체크할 칸의 h, w 좌표를 나타내는 변수 h_check, w_check를 만들고 각각 h + dh[i], w + dw[i]를 저장합니다.
4-2. h_check가 0 이상 n 미만이고 w_check가 0 이상 n 미만이라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4-2-a. board[h][w]와 board[h_check][w_check]의 값이 동일하다면 count의 값을 1 증가시킵니다.
5. count의 값을 return합니다.
위의 의사코드와 작동방식이 다른 코드를 작성해도 상관없습니다
제한사항
1 ≤ board의 길이 ≤ 7
board의 길이와 board[n]의 길이는 동일합니다.
0 ≤ h, w < board의 길이
1 ≤ board[h][w]의 길이 ≤ 10
board[h][w]는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board | h | w | result |
1 [["blue", "red", "orange", "red"], ["red", "red", "blue", "orange"], ["blue", "orange", "red", "red"], ["orange", "orange", "red", "blue"]] | 1 | 1 | 2 |
[["yellow", "green", "blue"], ["blue", "green", "yellow"], ["yellow", "blue", "blue"]] | 0 | 1 | 1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주어진 보드를 나타내면 아래 그림과 같고, board[1][1]의 인접한 칸들은 화살표가 가리키는 칸들입니다. 따라서 board[1][1] 주변의 "red" 칸은 총 2개입니다.
입출력 예 #2
주어진 보드를 나타내면 아래 그림과 같고, board[0][1]의 인접한 칸들은 화살표가 가리키는 칸들입니다. 따라서 board[0][1] 주변의 "green"칸은 총 1개입니다.
글로 보면 문제가 좀 어렵고, 그림을 보니 그나마 문제 이해가 갔다.
n*n 배열의 board 중 위, 왼쪽, 오른쪽, 아래쪽 색깔이 중심의 색깔과 일치하는 개수가 몇 개인지 맞추면 되는 문제이다.
첨에 풀려던 컨셉은 아래와 같다.
....중략....
count_arr = [] if (h+1) <= len(board) : count_arr += [h+1, w],
if (w-1) >= 0 : count_arr += [h,w-1],
if (w+1) <= len(board) : count_arr += [h,w+1],
if (h-1) >= 0 : count_arr += [h-1,w],
.....중략..... |
주어진 포지션 기준 위, 왼쪽, 오른쪽, 아래쪽의 위치가 0보다 작거나 board의 길이보다 크면 board 범위를 벗어나게 되므로
해당 범위에 들어오는 case에 대해서만 위치를 count_arr에 저장하고 나서 count_arr에 입력된 h, w에 대해 board[h][w]와 같은지 비교하려고 했는데
일부 답은 맞았는데 런타임 에러가 떨어지면서 틀렸다는 문구가 떨어졌다.
의도적으로 비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작성된 코드를 제출받지 않으려는 취지로 이해하고
다시 문제 내 의사코드 내용을 읽어봤는데, 다시 보니 설명한 그대로 코딩하면 답이 되는 것이었다.
1. 정수를 저장할 변수 n을 만들고 board의 길이를 저장합니다.
2. 같은 색으로 색칠된 칸의 개수를 저장할 변수 count를 만들고 0을 저장합니다.
3. h와 w의 변화량을 저장할 정수 리스트 dh, dw를 만들고 각각 [0, 1, -1, 0], [1, 0, 0, -1]을 저장합니다.
4. 반복문을 이용해 i 값을 0부터 3까지 1 씩 증가시키며 아래 작업을 반복합니다.
4-1. 체크할 칸의 h, w 좌표를 나타내는 변수 h_check, w_check를 만들고 각각 h + dh[i], w + dw[i]를 저장합니다.
4-2. h_check가 0 이상 n 미만이고 w_check가 0 이상 n 미만이라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4-2-a. board[h][w]와 board[h_check][w_check]의 값이 동일하다면 count의 값을 1 증가시킵니다.
5. count의 값을 return합니다.
3. 우선 dh=[0,1,-1,0], dw=[1,0,0,-1]에 명시된 값은 [h, w] 좌표 기준 [오른쪽, 위, 아래, 왼쪽]을 각각 x축(h), y축(w)에 맞춰 리스트업한 것이고
4-1. h + dh[i], w+dw[i]가 내가 최초 풀려던 컨셉에서 'board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가'를 check하기 위한 중간 과정이었고
4-2. 오른쪽, 위, 아래, 왼쪽 칸들 중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board[h_check][w_check]가 board[h][w]와 같으면 count를 증가하는 것이다.
그래서 최종 제출본은 아래와 같다. 제시된 의사코드에선 count라는 변수가 명시되었는데 문제에서 어차피 answer = 0으로 명시해서 해당 변수를 return하니 굳이 count를 명시하지 않아도 될 듯 해서 하지 않았다.
def solution(board, h, w):
answer = 0
dh=[0,1,-1,0]
dw=[1,0,0,-1]
for i in range(4):
h_check = h + dh[i]
w_check = w + dw[i]
if h_check >= 0 and h_check < len(board) and w_check >= 0 and w_check < len(board) :
if board[h][w] == board[h_check][w_check] :
answer += 1
return answer
'IT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코딩테스트][연습코딩][기초 트레이닝]수 조작하기 1 (2) | 2024.10.10 |
---|